Juliana Lee & Partners Co. Ltd.

Accelerate from Local to Global

줄리아나리앤파트너스 자세히보기

스타트업 뉴스

2025년 1분기 한국 스타트업 투자 동향

Juliana Lee 2025. 4. 8. 09:58

2025 1분기 한국 스타트업 투자 동향

 

 

(이미지 출처: 오픈트레이드)

 

안녕하세요, 줄리아나리앤파트너스(Juliana Lee & Partners, JL&P)입니다.

 

2025년의 첫 분기가 어느새 마무리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 스타트업 투자 시장은 여전히 한겨울의 추위에서 벗어나지 못한 모습입니다. 더브이씨(The VC)가 집계한 데이터에 따르면, 1분기 한국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대상 투자 건수는 총 243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했습니다. 투자 금액 역시 1 2,36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하며, 투자 시장의 회복이 더딘 상황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반적인 침체 속에서도 몇몇 분야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내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환경/에너지, 제조, 컨슈머테크 등의 분야 스타트업들이 국내 벤처캐피탈 (VC)로부터 상당한 투자를 유치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각 분야별 대표적인 투자 흐름과 해당 분야 스타트업들의 주요 서비스와 최근 실적 및 동향을 살펴보겠습니다.​

 

초기 라운드 투자 침체 지속

초기 라운드(시드~시리즈 A) 투자부터 보자면 일단 181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 감소하며, 초기 스타트업들의 자금 조달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반면, 후기 라운드(시리즈 C~프리 IPO) 투자 건수는 20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했으나, 투자 금액은 2,290억 원으로 21% 감소했습니다. 중기 라운드(시리즈 B~C) 투자 금액만이 6,02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는데, 이는 500억 원 이상 규모의 투자 세 건을 비롯해, 1분기 투자 금액 상위 10개 라운드 중 8건이 중기 라운드 투자였던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인공지능 기업 투자 감소

          지난해 투자 시장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선전했던 인공지능(AI) 기업들 역시 올해 들어 다소 고전하고 있습니다. 2025 1분기 한국 AI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대상 투자 건수는 총 41, 투자 금액은 1,949억 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9%, 37% 감소했습니다. 다만 AI 분야의 투자가 전체 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건수 기준 17%, 금액 기준 16%로 지난해 수준을 유지하며, AI가 여전히 투자자들의 핵심 관심 분야임을 나타냈습니다.

특히 2025 3월 한 달 동안만 살펴보더라도, AI와 딥테크, 블록체인 분야는 총 1,229억 원의 투자금을 기록하며 모든 투자 분야 중 가장 큰 규모를 차지했습니다. AI 및 딥테크 분야에서 가장 큰 주목을 받은 기업은 생성형 AI 플랫폼 ‘뤼튼’을 운영하는 뤼튼테크놀로지스로, 지난해 6 pre-B 라운드에서 250억 원을 투자받은 데 이어 올해 3월 시리즈 B 라운드에서 추가로 830억 원을 유치하며 큰 관심을 모았습니다. 뤼튼테크놀로지스는 AI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교육 분야에서 개인 맞춤형 학습 솔루션을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AI/딥테크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낸 기업으로는 인플루언서와 브랜드를 연결하는 플랫폼 'ZVZO'를 개발한 두어스와 지식 비즈니스 플랫폼 '라이브클래스'를 운영하는 퓨처스콜레가 있습니다. 두 기업 모두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과 AI 기술의 결합을 통해 주목받고 있으며,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향후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이처럼 개별 성공 사례는 있었지만, AI 분야 전체적으로는 투자금 규모와 투자 건수가 감소하며 많은 기업들이 여전히 도전적인 환경에 직면해 있습니다. 앞으로 AI 분야의 스타트업들은 지속 가능한 혁신과 구체적인 성과를 보여줄 필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환경/에너지 분야 투자 금액 급증

분야별로는 바이오/의료/헬스케어 분야 기업들이 42건의 투자를 통해 2,489억 원을 유치하며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했으나, 투자 건수와 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0%, 35%씩 감소했습니다. 반면, 환경/에너지 분야는 2,181억 원의 투자 금액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2% 증가하며 눈에 띄는 성장을 보였습니다. 이는 수소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는 아모지가 820억 원, 폐기물 관리 솔루션을 개발하는 리코가 585억 원의 대규모 투자를 유치한 것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리코(Reco)는 폐기물 관리 플랫폼을 운영하는 스타트업으로, 기업들에게 통합적인 폐기물 수거 및 관리를 위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2025 1분기 시리즈 C 라운드에서 4,370만 달러( 585억 원)의 투자를 유치하였으며, 이 투자 라운드는 이케아를 운영하는 잉카 그룹의 투자 부문인 잉카 인베스트먼츠가 주도하였습니다. 리코는 데이터 기반의 폐기물 관리 서비스를 통해 자원 재활용과 지속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감소되었다 하더라도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바이오/헬스케어 분야의 스타트업 경우, 힐링페이퍼를 손꼽을 수 있습니다. 힐링페이퍼는 미용 의료 플랫폼을 운영하는 기업으로, 2025 1분기 시리즈 C 라운드에서 428억 원의 투자를 유치하며 해당 분야에서 최대 투자 금액을 기록했습니다. 이 회사는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미용 의료 정보를 제공하고, 의료 서비스 예약 및 상담을 지원하는 플랫폼을 통해 고객과 의료 기관을 연결하고 있습니다. 이번 투자를 통해 서비스 범위를 확대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에 주력할 계획입니다. 환경/에너지 분야의 이러한 활발한 투자는 지속 가능한 기술이 미래 성장의 핵심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꾸준히 선방 중인 제조 및 컨슈머테크

시즐은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2025 1분기 237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이 회사는 제조 공정의 자동화 및 효율화를 위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솔루션을 개발하여, 기업들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번 투자를 통해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국내외 시장 진출을 가속화할 계획입니다.​

두잇은 1인 가구를 위한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을 운영하는 스타트업으로, 2025 1분기 시리즈 A 라운드에서 306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이 회사는 1인 가구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맞춤형 서비스와 제품을 제공하며, 사용자들에게 편리하고 효율적인 생활 방식을 제안합니다. 이번 투자를 통해 서비스 범위를 확대하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에 주력할 계획입니다.

 

해외 투자자 투자 금액 증가

해외 투자자들의 투자가 증가한 점도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1분기 해외 투자자들의 한국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대상 투자 금액은 1,75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했습니다. 미국의 굿워터캐피탈과 비알브이캐피탈매니지먼트 등이 참여한 뤼튼테크놀로지스의 830억 원 규모 시리즈 B 라운드와 아람코벤처스가 주도한 아모지의 820억 원 규모 시리즈 C 라운드 등이 이러한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아모지(Amogy)는 수소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타트업으로, 암모니아를 활용한 친환경 에너지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2025 1분기에 820억 원 규모의 시리즈 C 투자를 유치하였으며, 이는 사우디 아람코의 벤처 캐피탈인 아람코벤처스가 주도하였습니다. 아모지는 암모니아를 분해하여 수소를 추출하고 이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기술을 통해 탄소 배출을 줄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한국 판교 테크노밸리에 사무소를 개설하여 (SK이노베이션, 삼성중공업, HD현대, 한화, SV인베스트먼트, 고려아연 등) 국내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 세계 최초로 암모니아 기반의 무탄소 선박 시연에 성공한 바 있으며, 최근 확보한 5,600만 달러 규모의 투자 자금을 기반으로 해상 운송과 발전 분야에서의 상용화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해외 투자자들의 관심 증가는 국내 스타트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는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맺음말

2025 1분기 한국 스타트업 투자 시장은 여전히 회복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것이 지배적인 전망입니다. 하지만 그 반대 사실을 입증하는 실적 또한 적잖게 연초에 보여졌습니다. 상술했던 여러 스타트업들의 성공 사례는 여러 말이 많은 투자 환경 속에서도 혁신적인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주목받을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정 분야 내에서의 국내 벤처캐피탈의 적극적인 투자가 이뤄지고 있으며 그로 인해 스타트업 생태계의 활성화에 계속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줄리아나리앤파트너스(JL&P)는 풍부한 경험과 넓은 네트워크, 그리고 전문성을 바탕으로 국내 스타트업들이 글로벌 투자를 유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분야에서의 혁신적인 스타트업들이 더욱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초기 라운드 투자의 감소는 신생 기업들에게 큰 도전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환경/에너지 분야 등등의 투자 증가와 해외 투자자들의 관심 증가가 꾸준하다는 것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신호입니다. 저희는 앞으로도 이러한 투자 흐름과 기회를 눈여겨 보며, 국내 스타트업들이 글로벌 무대에서 더 크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함께 하겠습니다.

 

#줄리아나리앤파트너스 #스타트업투자 #20251분기 #투자동향 #인공지능투자 #환경에너지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