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rms And Phrases To Avoid:
- adverbs
Mostly, they are very often overly used. Use strong words instead. For example, one could say, ``Writers abuse adverbs.''
* 부사: 논문에서 저자들은 부사(-ly)를 납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신 정확하고 강한 어조의 단어 (동사, 명사)를 사용하세요.
- jokes or puns
They have no place in a formal document.
* 농담, 말장난: 멋진 이디엄 표현이라고 해서 영어논문에 남발하는 실수를 저지르지 마세요.
- “bad”, “good”, “nice”, “terrible”, “stupid”
A scientific dissertation does not make moral judgements. Use “incorrect/correct” to refer to factual correctness or errors. Use precise words or phrases to assess quality. In general, one should avoid all qualitative judgements.
* 과학적 증명을 요구하는 논문에는 ‘선악’을 구분 짓는 도덕적 표현을 피합니다. Bad/ good 보다는 incorrect/ correct를 사용합니다. 질적 판단을 요구하는 표현은 가능하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e.g., “method A requires less computation than method B”).
- “true”, “pure”,
- “perfect'”
- “an ideal solution”
평가, 판단하는 표현이므로 피합니다.
- “today”, “modern times”
현재 출간된 논문도 언젠가는 과거의 문헌이 됨으로 시간적 표현을 피합니다.
- “soon”
특정 기간이 아니라면 ‘곧’이라는 표현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we were surprised to learn...”
- “seem”, “seemingly”
~인듯하다 라고 추측하는 표현을 피합니다.
- “would seem to show”
추측성 표현은 피하고 논문에서는 정확한 팩트로 내용을 충실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 “in terms of”
무엇에 관련된 이야기인지 모호한 표현입니다.
- “based on'', “X-based”, “as the basis of”
역시 모호한 표현으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different”
‘다른’이란 표현에는 기준이 필요하기에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in light of”, “lots of”, “kind of”, “type of”, “something like”, “just about”, “due to”
구어체적인 표현으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number of”, “some”, “many”, “most” “few, most, all, any, every”
좀더 정확한 수치상 표현이 좋습니다.
- “probably”, “obviously”, “clearly”
- “simple”
- “actually, really”
- “the fact that”
- “this”, “that”
This가 의미하는 것은 그 앞 문장의 내용 전체가 될 수도 있고 이전에 명시되었던 명사나 동사의 행위를 의미할 수도 있어 문장이 모호해 집니다.
- “You will read about...”
논문에서는 2인칭을 피합니다.
- “I will describe...”
논문에서는 1인칭을 피하고 대신 “Section 10 describes…”처럼 표기할 수 있습니다.
- “we” as in “we see that”
“we”가 의미하는 것은 공동저자나 연구자가 될 수 도 있고 일반독자들이 될 수도 있는 모호한 표현이기에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Hopefully, the program...”
희망, 소망, 기대치를 의미하는 표현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a famous researcher...”
‘저명한 저자’라는 표현도 독자들이게 고정관념을 심어줄 수 있는 표현이기에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must”, “always”
단호한 표현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should'”
권유, 권고의 표현도 피합니다.
- “can/may”
추측이나 가능성을 예상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남발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스스로 작성하기에는 처음부터 쉽지 않은 것이 영어논문입니다.
내용구성부터 올바른 단어 및 표현 선정에서 감수 작업까지 전문가의 도움으로 컨설팅 받아 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바른 방법으로 작문스킬을 배워 매번 반복, 연습하다보면 더이상 번역없이 직접 영문 논문 작성이 가능해지게 됩니다.
영어논문 교정 및 영어논문 영어발표, 학회 준비에 필요한 컨설팅 에듀센트로에서 도움 드립니다.
* 스피치, 영어 프레젠테이션, 인터뷰, 리더십, 국제 협상, 국제매너, 영문교정, 이문화 이해 MBA 특강 문의: 에듀센트로
'영어 논문 작성과 학술발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논문발표 특강 -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0) | 2015.02.10 |
---|---|
영어논문 핵심문법: 관사 Article (0) | 2015.02.09 |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학술발표 영어프레젠테이션 과정 (0) | 2014.11.02 |
한국의 노벨상 수상자가 많아지는 그날까지. (0) | 2014.10.15 |
영어논문발표특강@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 (0) | 2013.12.16 |